한국복식사 10강- 드라마와 영화 속의 시대별 복식3;고려시대
<쌍화점>을 비롯한 고려시대의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당시 복식문화의 형태와 특징을 알아본다.
한국복식사 9강- 드라마와 영화 속의 시대별 복식3:통일신라의 여자복식
<선덕여왕>을 비롯한 통일신라시대 드라마를 중심으로 당시 여성복식문화의 형태와 특징을 알아본다.
한국복식사 8강- 드라마와 영화 속의 시대별 복식2;발해와 통일신라 시대
<대조영>을 비롯한 발해와 통일신라시대의 드라마를 중심으로 당시 복식문화의 형태와 특징을 알아본다.
한국복식사 7강- 드라마와 영화 속의 시대별 복식1: 상대복식
<주몽>을 비롯한 삼국시대의 드라마를 통해 이 시대 복식문화의 특징과 형태를 알아본다.
한국복식사 6강- 왕실의 옷이 궁금해2;조선시대 왕비복식
복식제도의 개념과 특징을 통해 왕비복식의 시대적 변천을 고찰한다.
한국복식사 5강- 왕실의 옷이 궁금해?
관모의 어원과 유래를 알아본다. '복식'이라는 글자의 의미를 통해 왕의 복식을 다룬다.
한국복식사 4강- 옛날 남자들은 귀고리를 했을까?
선사시대 장신구의 의미와 기원에 대해 알아보고, 북방유목기마민족 스키타이의 동전상에 나타난 耳飾의 시대적변천을 고찰한다.
한국복식사 3강- 신랑의 단령에 왜 흉배가 달렸을까?
신랑의 결혼예복을 통해 단령의 유래와 개념, 흉배무늬의 의미를 고찰한다.
한국복식사 2강- 象-무늬로 읽는 혼례이야기
상징과 기호로 표현된 활옷의 자수무늬를 통해 혼례 콘텐츠를 알아 본다.
한국복식사 1강- 옛날 신부의 드레스는 왜 흰색이 아닐까?
이 강의는 혼례 용어와 개념의 유래 및 혼례절차, 내용의 시대적 제약과 광의의 문화적 현상에 대한 소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