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개혁론 11강-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1. 이승만, 장면 행정부의 행정개혁 2. 박정희, 전두환 행정부의 행정개혁 3. 노태우, 김영삼 행정부의 행정개혁 4. 김대중, 노무현 행정부의 행정개혁 5. 이명박, 박근혜 행정부의 행정개혁 6. 학생발표(중국의 행정개혁 등)
행정개혁론 10강- 외국의 행정개혁
1. 영국의 행정개혁 2. 미국의 행정개혁 3. 일본의 행정개혁 4. 뉴질랜드의 행정개혁 5. 학생발표(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개혁론 9강- 기타 개혁 모형들
1. 기업가적 정부 2. 뉴거버넌스 모형 3. 포스트모더니티 모형 4. 전자정부 5. 학생발표(문화전략 및 지방자치 등)
행정개혁론 8강- 신공공서비스 모형
1. 신공공서비스의 의의 2. 신공공서비스의 대두배경 3. 신공공서비스의 특징 4. 학생발표(통제전략 및 지방자치 등)
행정개혁론 7강- 신공공관리와 탈신공공관리 모형
1. 신공공관리모형의 의의 2. 신공공관리의 행정개혁 전략 3. 신공공관리 비판 4. 탈신공공관리 모형 5. 학생발표(고객전략 및 지방자치 등)
행정개혁론 6강- 탈관료제 모형
1. 탈관료제론의 개관 2. 피터스의 탈관료제 모형 3. 관료제모형과 탈관료제 모형의 비교 4. 힉생발표(성과전략 및 지방자치 등)
행정개혁론 5강- 성공적 개혁관리 전략
1. 성공적 개혁의 기초 2. 행정개혁의 성공적 관리전략들 3. 학생발표(핵심전략 및 지방자치 등)
행정개혁론 4강- 행정개혁과 저항
1. 저항의 의의와 기능 2. 저항의 원인 3. 저항의 극복방안 4. 지방자치에 대한 학생발표
행정개혁론 3강- 행정개혁의 주체
1. 행정개혁의 촉발자 2. 행정개혁의 담당자
행정개혁론 2강- 행정개혁의 계기, 과정, 수혜자
1. 행정개혁의 촉발요인 2. 행정개혁의 과정 3. 행정개혁의 수혜자